본문 바로가기
이슈 & 트렌드

2021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을 연봉으로 환산해보면?

by Jayden_Yu 2022. 9. 30.
반응형

2021-도시근로자-월평균소득

 

|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의 정의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을 확인하는 이유는 바로 내 집 마련 때문이다. 즉 아파트 청약을 신청할 때 소득기준이 있는데 그게 바로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이다.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은 매년 1 분기 중으로 통계청에서 발표를 하며 전년도 기준 가구당 월평균소득을 말합니다. 

 

| 전년도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계산 시, 적용되는 기간

전년도라고 해서 올해 2022년 기준으로 2021년 1월 ~ 2021년 12월까지의 소득을 전년도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실제 통계청은 2021년 3월 1일 ~ 2022년 2월 28일까지로 기준을 잡아 계산을 합니다.

 

통계청에서 전년도(작년)의 소득자료를 조사해서 다음 해 3월에 발표하고 해당 데이터를 기준으로 공영 또는 민영에서 아파트 청약 시 소득계산을 하게 됩니다.

 

| 2021년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확인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4인 가구
50% 1,495,816 2,281,268 3,120,260 3,547,103
60% 1,794,979 2,737,521 3,744,312 4,256,523
70% 2,094,142 3,193,775 4,368,364 4,965,944
80% 2,393,305 3,650,028 4,992,416 5,675,364
90% 2,692,468 4,106,282 5,616,468 6,384,785
100% 2,991,631 4,562,535 6,240,520 7,094,205
110% 3,290,794 5,018,789 6,864,572 7,803,626
120% 3,589,957 5,475,042 7,488,624 8,513,046
130% 3,889,120 5,931,296 8,112,676 9,222,467
140% 4,188,283 6,387,549 8,736,728 9,931,887
150% 4,487,447 6,843,803 9,360,780 10,641,308
160% 4,786,610 7,300,056 9,984,832 11,350,728

 

| 공공 분양 또는 민간 분양 시 기준

아래 간단히 정리한 공공 분양과 민간 분양의 월평균소득을 보면 공공보다는 민간이 소득 기준이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올해가 2022년이고 전년도 2021년 기준으로 계산한 것이니 내년 2023년이 되면 해당 금액이 소폭 상승되어 통계청에서 발표를 하게 될 것입니다.

 

1. 신혼부부 ( 4인 가구 기준 )

1-1. 공공 분양

- 우선 공급 ( 70% ) : 월 평균소득 100% 이하 ( 맞벌이 120% 이하 )

[ 외벌이 : 7,094,205 원 이하 / 맞벌이 : 8,513,046 원 이하 ]

- 일반 공급 ( 30% ) : 월 평균소득 130% 이하 ( 맞벌이 140% 이하 )

[ 외벌이 : 9,222,467 원 이하 / 맞벌이 : 9,931,887 원 이하 ]

 

1-2. 민간 분양

- 우선 공급 ( 70% ) : 월 평균소득 100% 이하 ( 맞벌이 120% 이하 )

- 일반 공급 ( 30% ) : 월 평균소득 140% 이하 ( 맞벌이 160% 이하 )

 

2. 생애 최초 ( 4인 가구 기준 )

2-1. 공공 분양

- 우선 공급 ( 70% ) : 월 평균소득 100% 이하 ( 7,094,205 원 이하 - 연봉으로 계산할 경우 약 8,500 만원 정도 )

- 일반 공급 ( 30% ) : 월 평균소득 130% 이하 ( 9,222,467 원 이하 - 연봉으로 계산할 경우 약 1억 1천만 원 정도 )

 

2-2. 민간 분양

- 우선 공급 ( 70% ) : 월 평균소득 130% 이하 ( 9,222,467 원 이하 - 연봉으로 계산할 경우 약 1억 1천만 원 정도 )

- 일반 공급 ( 30% ) : 월 평균소득 160% 이하 ( 11,350,728 원 이하 - 연봉으로 계산할 경우 약 1억 3천만 원 정도 )

 

| 간단하게 내 소득기준 확인하는 방법

정말 간단하게 내 소득기준은 어떻게 확인해야 할까? 바로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본인이 작년에 납부한 건강보험료 기준으로 보면 쉽게 조회가 가능합니다.

 

1.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 민원여기요 > 개인 민원 클릭

2. 보험료 조회/신청 > 직장보험료 조회 클릭

3. 조회년도 2021 년 선택 후 조회

4. "평균보수월액" 금액 확인

 

2021-도시근로자-월평균소득-1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