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 & 트렌드

주택청약종합저축 금리 인상과 알맞은 저축 금액, 이것만 알면 끝

by Jayden_Yu 2022. 10. 29.
반응형

주택청약종합저축-금리

최근 정부에서 주택청약종합저축의 금리를 한국은행의 기준 금리가 인상된 만큼 현실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정책을 검토 중이라고 발표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주택청약종합저축의 금리와 주택청약종합저축을 얼마큼 저축 금액을 넣는 것이 좋은지, 정리를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청약통장에 종류가 있다?

청약통장은 크게 4가지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우선 2009년에 새롭게 만들어진 '주택청약종합저축' 통장은 국민주택 및 민영주택에 모두 청약할 수 있는 통장을 말합니다. 그리고 2015년 9월 1일부터 신규가입이 중단된 '청약저축', '청약부금', '청약예금' 3가지 상품이 추가적으로 또 있습니다. 

 

* 청약통장 종류

(1) 주택청약종합저축 : 국민주택 + 민영주택 구분 없이 모두 청약 가능한 상품

(2) 청약저축 : 국민주택 청약만 가능

(3) 청약부금 : 민영주택 청약만 가능 ( 85 제곱미터 이하 )

(4) 청약예금 : 민영주택 청약만 가능하며, 주택규모는 관계 없음

* 단, (2) ~ (4) 상품은 2015년 9월 1일부터 신규가입이 중단되었으며, 그전에 해당 청약을 가입한 사람의 경우 청약통장의 특성에 따라 청약을 할 수 있음.

 

| 국민주택, 민영주택 얼마씩 넣어야 하는가?

청약통장은 월 단위로 약정한 날짜에 최소 2만 원 ~ 50만 원까지 자유롭게 저축 가능하나, 국민주택과 민영주택에 따라 저축해야 하는 금액이 서로 유리한 부분이 다릅니다.

 

국민주택의 경우 : 매월 10만 원씩 입금하는 것이 유리함 ( 국민주택은 '납입인정금액'이 많은 순으로 당첨자를 뽑기 때문에 회차별 납입인정금액이 1회에 최대 10만 원까지임 ) → 따라서 50만 원을 납입해도 10만 원만 인정되기 때문에 굳이 많이 넣을 필요가 없음

( 매월 10만 원씩 꾸준히 오래 저축하는 것이 당첨 확률이 높아짐 )

 

민영주택의 경우 : 필요한 납입회차를 채운 후 지역과 주택형에 따라 예치금을 입주자 모집공고일 이전에 입금하면 됩니다. 즉, 청약통장을 해지하지 않고 매월 저축을 하지 않아도 입주자 모집공고일 전에만 필요한 예치금을 한꺼번에 입금하면 인정이 된다는 것입니다.

 

| 청약통장 지역별 예치금액 기준?

전용 면적 서울, 부산 광역시 기타지역
85 제곱미터 이하 300만 원 250만 원 200만 원
102 제곱미터 이하 600만 원 400만 원 300만 원
135 제곱미터 이하 1,000만 원 700만 원 400만 원
모든 면적 1,500만 원 1,000만 원 500만 원

각 지역별 청약통장에 예치되어 있어야 하는 금액은 위에 표와 같습니다. 예치금의 기준은 주택건설지역이 아니라 현재 살고 있는 거주지가 기준이 된다는 점 꼭 기억하셔야 합니다. 쉽게 설명드리면 서울에 살고 있는 사람이 경기도에 분양하는 아파트에 청약을 넣고 싶다고 가정하면 해당 사람은 서울 기준으로 300만 원이 청약통장에 예치금이 있어야 합니다.

구분 국민주택 민영주택
분양 주체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LH, SH, 지방공사가 주택도시기금을
지원받아 공급하는 주택
민간 건설사업자 ( 힐스테이트, 자이 등등 )
면적 전용 85 제곱미터 이하
( 수도권 및 도시가 아닌 읍, 면은 100 제곱미터 이하 )
예치금에 따라 주택형 결정
( 최소 200만 원 ~ 최대 1,500만 원 )
입주 대상 무주택 세대주
( 해당지역 및 인근지역 거주자 )
만 19세 이상
( 해당지역 및 인근지역 거주자 )

 

주택청약종합저축-금리인상

| 주택청약종합저축 금리 인상?

현재 주택청약종합저축의 금리는 1.8%입니다. 청약통장에 1순위 요건인 2년 이상 납입했다는 전제 아래 2016년 8월 12일 이후부터 계속 1.8% 의 금리를 적용받고 있었습니다. 그럼 이번에 정부에서 청약통장의 예금금리를 인상하기로 확정했다고 하는데 과연 얼마나 인상이 될까요? 

 

* 2022년 10월 현재 한국은행 기준 금리 3.0%

→ 과거 2012년 7월 한국은행 기준 금리가 3.25% > 3.00% 인하되어 현재와 동일한 기준 금리였음

→ 한국은행 기준 금리 3.00% 기준 청약통장 금리 4.5% 

 

아마 이번에도 청약통장의 금리가 인상된다고 하면 과거의 사례를 보면 4.0% ~ 4.5% 정도의 금리로 인상되지 않을까 예상됩니다. 여러분들도 아시겠지만 청약통장은 내 집 마련을 계획하고 계신 분들이 라면 해지하지 말고 꼭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고, 국민주택의 경우 위에 알려드린 바와 같이 기간이 중요하기 때문에 꼭 해지하지 말고 유지하시길 권장드립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