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 트렌드3 주택청약종합저축 금리 인상과 알맞은 저축 금액, 이것만 알면 끝 최근 정부에서 주택청약종합저축의 금리를 한국은행의 기준 금리가 인상된 만큼 현실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정책을 검토 중이라고 발표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주택청약종합저축의 금리와 주택청약종합저축을 얼마큼 저축 금액을 넣는 것이 좋은지, 정리를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청약통장에 종류가 있다? 청약통장은 크게 4가지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우선 2009년에 새롭게 만들어진 '주택청약종합저축' 통장은 국민주택 및 민영주택에 모두 청약할 수 있는 통장을 말합니다. 그리고 2015년 9월 1일부터 신규가입이 중단된 '청약저축', '청약부금', '청약예금' 3가지 상품이 추가적으로 또 있습니다. * 청약통장 종류 (1) 주택청약종합저축 : 국민주택 + 민영주택 구분 없이 모두 청약 가능한 상품 (2) 청약저축 : 국.. 2022. 10. 29. 2021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을 연봉으로 환산해보면? |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의 정의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을 확인하는 이유는 바로 내 집 마련 때문이다. 즉 아파트 청약을 신청할 때 소득기준이 있는데 그게 바로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이다.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은 매년 1 분기 중으로 통계청에서 발표를 하며 전년도 기준 가구당 월평균소득을 말합니다. | 전년도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계산 시, 적용되는 기간 전년도라고 해서 올해 2022년 기준으로 2021년 1월 ~ 2021년 12월까지의 소득을 전년도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실제 통계청은 2021년 3월 1일 ~ 2022년 2월 28일까지로 기준을 잡아 계산을 합니다. 통계청에서 전년도(작년)의 소득자료를 조사해서 다음 해 3월에 발표하고 해당 데이터를 기준으로 공영 또는 민영에서 아파트.. 2022. 9. 30. 실외 마스크 해제, 얼마 만에 일상으로 돌아가는가 |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 전면 해제 국내에서 코로나가 최초 발생된 것이 검색을 해 보니 2020년 1월쯤이었습니다. 그때부터 시작된 코로나와의 전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마스크를 착용하고 다니기 시작했습니다. 2015년 메르스 발생했을 때도 남의 일처럼 생각해서 일상생활할 때 마스크를 착용하고 다니지는 않았는데 코로나는 법정 감영병으로 국가에서 착용을 의무화했습니다. 그로부터 햇수로 3년 뒤 2022년 9월 26일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 전면 해제가 시행된다고 합니다. 이제부터는 50명 이상이 모이는 야외 집회에 참석할 경우 또는 공연, Sports 경기를 구경할 때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아도 된다고 합니다. 코로나 발생 이후 콘서트도 뮤지컬도 영화도 정말 사람과 사람을 만나서 이야기하고 문화 생활을 즐기지.. 2022. 9. 23. 이전 1 다음